728x90
반응형
SMALL

안녕하세요!

프뚜(프로그래머 뚜)입니다!

 

[개발 환경]

 - OS: windows 10 64bit

 - Node: v14.16.0

 - Npm: v6.14.11

 - Target: Android Emulator Or Android Phone

(윈도우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iOS 지원X)

 

저번 포스팅에는 개발 환경에 맞는 설치 및 환경 변수를 지정했습니다.

(ssjeong.tistory.com/entry/React-Native-%EC%84%A4%EC%B9%98-%EB%B0%8F-%ED%99%98%EA%B2%BD-%EB%B3%80%EC%88%98-%EC%84%B8%ED%8C%85Windows-10)

 

 

이번 포스팅에는 react-native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실행해보겠습니다.

 

VS Code(VisualStudio Code) 실행합니다.

[터미널] -> [새 터미널]을 클릭합니다.

 

 

 

원하는 경로로 이동한 후 npm i -g react-native-cli 를 실행합니다.

 

 

 

react-native init 프로젝트명을 적습니다. (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.)

 

 

 

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. RN 폴더로 이동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[파일] -> [폴더 열기...]를 클릭합니다.

 

 

 

해당 경로로 이동 후 [폴더 선택]을 클릭합니다. 

 

 

 

이전에 만든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.

 

 

 

[react-native run-android]를 입력합니다. (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.)

 

 

 

node 서버가 실행되고 APK를 만든 뒤 애뮬레이터에 넣는 행위를 위 명령어가 다 진행해줍니다.

 

 

 

 

짠! react-nativ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애뮬레이터에 rn을 실행시켰습니다.

 

 

궁금하신 부분 또는 문제가 생긴 부분에 대해서 댓글 남겨주시면 빠르고 정확한 답변드리겠습니다.

728x90
반응형
LIST
프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