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
안녕하세요!

프뚜(프로그래머 뚜)입니다!

 

[개발 환경]

 - OS: CentOS 8 (docker container)

 - ROOT 계정으로 실행

 -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

 

 

1. nodejs를 설치하기 위해 yum, sudo를 설치하기

yum -y update
yum -y install sudo

sudo를 사용해서 yarn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선 작업을 합니다.

 

 

2. nodejs를 설치하기 위해 저장소를 설치하기

curl -sL https://rpm.nodesource.com/setup_16.x | sudo -E bash -
yum -y install epel-release

 

 

3. nodejs 설치하기

yum -y install nodejs

 

 

4. nodejs의 library를 다운 받기 위해 yarn 설치하기

curl --silent --location https://dl.yarnpkg.com/rpm/yarn.repo | sudo tee /etc/yum.repos.d/yarn.repo
sudo rpm --import https://dl.yarnpkg.com/rpm/pubkey.gpg
sudo yum -y install yarn

npm과 yarn의 차이점 중 하나는 패키지 설치 프로세스 처리 방법입니다.

npm은 패키지를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설치합니다.

yarn은 여러 패키지를 동시에 가져오고 설치하도록 최적화 되어있습니다.

yarn은 보안 측면에서 npm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.

 

 

궁금하신 부분 또는 문제가 생긴 부분에 대해서 댓글 남겨주시면 빠르고 정확한 답변드리겠습니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

'프로그램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우분투] Ubuntu USB 설치 만들기 (ISO)  (8) 2022.09.05
[Linux] Shell script 만들기  (0) 2022.07.25
[Linux] tar 명령어 사용하기  (0) 2022.07.25
[Linux] zip 설치 및 사용하기  (0) 2022.07.25
[CentOS] alias 설정하기  (0) 2022.07.25
프뚜